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파이썬 왕초보 가이드: 30분 만에 끝내는 기본 문법
    IT관련 2025. 5. 7. 22:05
    반응형

    📚 목차

    1. 파이썬이란?
    2. 환경 설정
    3. 첫 번째 파이썬 프로그램
    4. 변수와 데이터 타입
    5. 연산자
    6. 조건문
    7. 반복문
    8. 리스트
    9. 함수
    10. 다음 단계

    파이썬이란?

    파이썬(Python)은 1991년 귀도 반 로섬(Guido van Rossum)이 개발한 인터프리터 언어입니다.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:

    • 읽기 쉽고 간결한 문법: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배우기 쉽습니다.
    • 다양한 응용 분야: 웹 개발, 데이터 분석, 인공지능, 과학 계산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됩니다.
    • 풍부한 라이브러리: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수많은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.
    • 인터프리터 언어: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고 실행합니다.

    환경 설정

    파이썬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환경을 설정해야 합니다.

    1. 파이썬 설치

    • 윈도우: Python.org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. 설치 시 "Add Python to PATH"를 체크하세요.
    • 맥OS: 터미널에서 brew install python를 실행하거나, Python.org에서 다운로드합니다.
    • 리눅스: 대부분 기본 설치되어 있으며, 없다면 sudo apt-get install python3로 설치합니다.

    2. 코드 에디터 설치

   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에디터:

    • Visual Studio Code: 가볍고 확장성이 좋음
    • PyCharm: 파이썬 전용 IDE로 기능이 풍부함
    • Thonny: 초보자를 위해 설계된 간단한 IDE

    첫 번째 파이썬 프로그램

   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전통처럼, "Hello, World!"로 시작해봅시다.

    1. 코드 에디터를 열고 새 파일을 만듭니다.
    2. 다음 코드를 입력합니다:
    print("Hello, World!")
    
    1. 파일을 hello.py로 저장합니다.
    2. 터미널이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을 실행합니다:
    python hello.py
    

    축하합니다! 첫 번째 파이썬 프로그램을 실행했습니다.

    변수와 데이터 타입

    파이썬에서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테이너입니다. 변수 이름을 지정하고 = 기호를 사용하여 값을 할당합니다.

    # 변수 선언 및 할당
    이름 = "홍길동"
    나이 = 25
    키 = 175.5
    학생_여부 = True
    
    # 변수 출력
    print(이름)
    print(나이)
    print(키)
    print(학생_여부)
    

    주요 데이터 타입

    1. 문자열(String): 텍스트 데이터 (str)
    2. 이름 = "홍길동" 인사말 = '안녕하세요' 긴_문장 = """여러 줄에 걸친 문자열도 가능합니다."""
    3. 정수(Integer): 소수점 없는 숫자 (int)
    4. 나이 = 25 학년 = -3
    5. 실수(Float): 소수점 있는 숫자 (float)
    6. 키 = 175.5 무게 = 68.9
    7. 불리언(Boolean): 참 또는 거짓 (bool)
    8. 학생_여부 = True 합격_여부 = False
    9. 리스트(List): 여러 항목의 순서 있는 집합
    10. 과일 = ["사과", "바나나", "오렌지"] 숫자 = [1, 2, 3, 4, 5]
    11. 딕셔너리(Dictionary): 키-값 쌍의 집합
    12. 사람 = {"이름": "홍길동", "나이": 25, "직업": "개발자"}

    형 변환

   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려면:

    # 문자열에서 정수로
    나이_문자열 = "25"
    나이_숫자 = int(나이_문자열)
    
    # 정수에서 문자열로
    숫자 = 100
    숫자_문자열 = str(숫자)
    
    # 정수에서 실수로
    정수 = 10
    실수 = float(정수)
    

    연산자

    산술 연산자

    a = 10
    b = 3
    
    print(a + b)  # 더하기: 13
    print(a - b)  # 빼기: 7
    print(a * b)  # 곱하기: 30
    print(a / b)  # 나누기: 3.3333...
    print(a // b)  # 몫: 3
    print(a % b)  # 나머지: 1
    print(a ** b)  # 제곱: 1000 (10^3)
    

    비교 연산자

    a = 10
    b = 5
    
    print(a == b)  # 같음: False
    print(a != b)  # 다름: True
    print(a > b)   # 크다: True
    print(a < b)   # 작다: False
    print(a >= b)  # 크거나 같다: True
    print(a <= b)  # 작거나 같다: False
    

    논리 연산자

    a = True
    b = False
    
    print(a and b)  # 논리곱: False
    print(a or b)   # 논리합: True
    print(not a)    # 부정: False
    

    조건문

   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려면 if, elif, else 문을 사용합니다.

    점수 = 85
    
    if 점수 >= 90:
        print("A 학점")
    elif 점수 >= 80:
        print("B 학점")
    elif 점수 >= 70:
        print("C 학점")
    else:
        print("D 학점")
    

    주의: 파이썬에서는 들여쓰기가 코드 블록을 구분합니다. 일반적으로 4칸 공백을 사용합니다.

    반복문

    for 반복문

    시퀀스(리스트, 튜플, 문자열 등)의 각 항목에 대해 반복:

    과일 = ["사과", "바나나", "오렌지"]
    
    for 항목 in 과일:
        print(항목)
    
    # 숫자 범위 반복
    for i in range(5):  # 0부터 4까지
        print(i)
    

    while 반복문

   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:

    카운트 = 0
    
    while 카운트 < 5:
        print(카운트)
        카운트 += 1  # 카운트 = 카운트 + 1과 동일
    

    반복문 제어

    # break: 반복문 종료
    for i in range(10):
        if i == 5:
            break
        print(i)  # 0, 1, 2, 3, 4 출력
    
    # continue: 현재 반복 건너뛰기
    for i in range(10):
        if i % 2 == 0:
            continue
        print(i)  # 1, 3, 5, 7, 9 출력
    

    리스트

    리스트는 여러 항목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컬렉션입니다.

    과일 = ["사과", "바나나", "오렌지", "포도"]
    
    # 인덱싱 (0부터 시작)
    print(과일[0])  # 사과
    print(과일[2])  # 오렌지
    
    # 슬라이싱
    print(과일[1:3])  # ['바나나', '오렌지']
    
    # 길이
    print(len(과일))  # 4
    
    # 항목 추가
    과일.append("망고")
    print(과일)  # ['사과', '바나나', '오렌지', '포도', '망고']
    
    # 항목 삽입
    과일.insert(1, "키위")
    print(과일)  # ['사과', '키위', '바나나', '오렌지', '포도', '망고']
    
    # 항목 제거
    과일.remove("바나나")
    print(과일)  # ['사과', '키위', '오렌지', '포도', '망고']
    
    # 인덱스로 제거
    제거된_항목 = 과일.pop(1)
    print(제거된_항목)  # 키위
    print(과일)  # ['사과', '오렌지', '포도', '망고']
    
    # 정렬
    과일.sort()
    print(과일)  # ['망고', '사과', '오렌지', '포도']
    

    함수

    함수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 블록입니다.

    함수 정의 및 호출

    # 함수 정의
    def 인사하기():
        print("안녕하세요!")
    
    # 함수 호출
    인사하기()
    

   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

    def 인사하기(이름):
        print(f"{이름}님, 안녕하세요!")
    
    인사하기("홍길동")  # 홍길동님, 안녕하세요!
    

    반환 값이 있는 함수

    def 제곱(숫자):
        결과 = 숫자 * 숫자
        return 결과
    
    결과값 = 제곱(5)
    print(결과값)  # 25
    

    기본 매개변수

    def 인사하기(이름="손님"):
        print(f"{이름}님, 안녕하세요!")
    
    인사하기()  # 손님님, 안녕하세요!
    인사하기("홍길동")  # 홍길동님, 안녕하세요!
    

    다음 단계

    이제 파이썬의 기본 문법을 익혔습니다! 다음은 더 깊게 공부할 수 있는 주제들입니다:

    • 모듈과 패키지: 파이썬의 강력한 라이브러리 시스템
    • 예외 처리: try, except를 사용한 오류 처리
    • 파일 입출력: 파일 읽기와 쓰기
    • 클래스와 객체: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
    • 가상 환경: 프로젝트별 독립적인 환경 구성

    추천 연습 프로젝트

    1. 간단한 계산기 만들기
    2. 투두 리스트 앱
    3. 간단한 퀴즈 게임
    4. 파일에서 데이터 읽고 분석하기

    추천 학습 자료


    행운을 빕니다! 파이썬 여정에서 즐거움을 찾으시길 바랍니다. 코딩은 실수하고, 배우고, 성장하는 과정이니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습하세요. 🐍✨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